반응형 영화 용어45 [영화 용어 #32] 영화 제작자(프로듀서, PD)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알아봅시다!(+감독과 제작자의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영화 제작자 혹은 PD(ProDucer)가 하는 일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영화제작자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이름 그대로 영화가 잘 제작되도록 하는 사람입니다. 영화 제작 단계가 시작되기 위해 필요한 투자금을 끌어오는 것이라던가 스태프들을 섭외하는 것, 영화 현장을 통제하는 것, 영화 촬영 현장에서의 식사나 숙박 문제를 해결하는 등 문제를 해결하합니다. 이렇게 봤을 때만 해도 알 수 있듯이 감독과 같은 지위를 지닌 TV 프로그램의 PD(나영석 PD님처럼)와는 다른 위치에 있습니다. 그래도 영화감독과의 차이점에 대해 헷갈리시는 분이 계실 것 같은데요, 차이점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영화감독은 영어로 Film Director, 즉 영화 속 흐름의 방향(direction).. 2021. 9. 17. [영화 용어 #31] 고속 촬영, 저속 촬영 (다시는 헷갈리지 맙시다!!!) 고속 촬영, 저속 촬영, 슬로우 모션, 패스트 모션 헷갈리는 용어들입니다. 이번에 확실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영화를 기준으로 설명해볼테니 끝까지 봐주세요!! 고속 촬영(슬로우 모션을 위하여) 영화는 초당 24프레임의 이미지가 지나가는데요, 고속 촬영이라는 것은 촬영 당시 한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을 찍는 시간적 간격을 줄인다는 이야기입니다. 고속 촬영을 하면 같은 시간에도 더 많은 프레임이 찍혀진다는 것이죠. 그리고 이렇게 찍은 것을 가지고 초당 24프레임의 영화로 만들면 현실보다 시간을 늘리는(재생시간이 길어지는) 슬로우 모션이 되는 것이죠. 저속 촬영(패스트 모션을 위하여) 고속 촬영과 반대라고 생각하면 간단하지만 다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촬영 당시 일반 촬영보다 같은 시간 안에 적은 프레임을 찍게.. 2021. 9. 13. [영화 용어 #30] 클리셰: 부정적인 의미...그러나??(알아봅시다!!) 클리셰는 이미 너무 알려진 용어죠! 습관적으로 쓰여 뻔하게 느껴지는 , 진부한 표현이나 상투적인 문구 등을 의미합니다. 영화에서는 (사실 고전 소설에도 있지만) 에서처럼 영웅이 악당을 물리치는 것, 처럼 좀비 영화에서 좀비보다 무서운 것은 사람이라는 주제 등을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일부러 클리셰를 끌어와 이를 우습게 만들거나 하는 방법으로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내는 코미디가 아니라면 대부분 부정적인 의미(비평계에서는 더욱)로 사용되는 것이 바로 클리셰입니다. 전혀 신선하지 않고 관객이 다 예상 가능한 내용을 또 말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그. 러. 나. 클리셰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면서도 상업적인 면에서 큰 도움을 줍니다. 대형 영화여서 상영관을 많이 준 것도 있겠지만 마블 영화만 해도.. 2021. 9. 13.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