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화 용어45

[영화 용어 #29]헷갈리는 선예도와 해상도의 차이에 대해 간결하게 알아봅시다!! 이미지의 질을 말할 때 주로 언급되는 용어 2가지가 있죠! 바로 선예도와 해상도입니다. 각설하고 바로 알아봅시다! 선예도 선예도는 영어로 Sharpness인데요. 영어 그대로 얼마나 이미지가 선명하고 윤곽이 뚜렷하게 보이는가를 말합니다. 아래 사진을 볼까요? 확실히 선예도를 높인 것이 윤곽이 뚜렷해진 걸 볼 수 있죠! 노이즈가 끼면서 오히려 선명해진 느낌을 주게 된 것까지 볼 수 있습니다. 해상도 해상도는 영어로 resolution이죠! 디지털에서는 특정 면적당 픽셀이 얼마나 들어가는지를 의미하는데요. 해상도가 높을수록(픽셀이 많이 들어갈수록) 세밀하고 자세한 색과 이미지 표현이 가능해집니다(단, 해상도가 낮은 이미지를 해상도가 높게 편집한다고 해서 더 세밀한 색 표현이 갑자기 되는 것은 아닙니다!). .. 2021. 9. 11.
[영화 용어 #28]패러디와 패스티쉬에 대해 알아봅시다!(모조과 혼성모방) 여러분이 패러디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겠지만 패스티쉬는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을 겁니다. 패스티쉬에 대해 알아보는 것뿐 아니라 패러디를 하위 범주까지 나누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패러디(Parody) 특정 작가나 작품, 장르, 혹은 시대 스타일의 흐름 등을 모방해 원작자들이 의도하지 않았던 무언가를 추구하는 수법 혹은 작품을 말합니다. 위에 말한 것처럼 모방할 수 있는 소재는 많지만 패러디는 크게 조롱의 패러디와 존경의 패러디 그리고 인용 혹은 참고의 패러디 3가지의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조롱의 패러디 조선시대 판소리 등에서 나타난 풍자 등도 이에 속하는데, 그 정도로 전통적인 패러디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시대 상황을 비판하고 조롱하거나, 그 작품이 간과한 점을 우스꽝스럽게.. 2021. 9. 9.
[영화용어 #27]스크리너(SCR)란 무엇일까요? 이번에 영화배우 톰 크루즈가 도난당한 차량에 탑건 시리즈의 시퀄이자 신작인 '탑건 매버릭'의 스크리너가 들어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사건이 영화 관계자 모두의 문제가 되었습니다. 우선 스크리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크리너란 영화 혹은 텔레비전 프로그램 같은 걸 개봉하거나 방송하기 전에 비평가나 각종 시상식 심사위원들, 산업 관계자들(극장주 등), 프로듀서(영화나 방송 제작자, PD가 프로듀서의 줄임말)에게 보내는 견본을 말합니다. 상영과 동시에 혹은 더 빨리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영화 풀버전은 대부분 스크리너가 유출된 것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스크리너 유출은 영화산업 관계자에 정말 큰 문제입니다. 안 그래도 코로나 19로 어려워졌을 영화 현장이 더욱 어려워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 2021.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