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화인들을 위한 좋은 말들9

작품을 만들거나 바라볼 때 윤리적인 문제의식을 가져야 하는 이유 특히 영화를 감상하는 데에는 규칙이나 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영화는 세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현실을 모방하는 사실주의 영화가 아니더라도) 윤리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작품을 바라보고, 만들어야 한다. *작가가 펜의, 텍스트 하나하나의 무게를 경시하며 작품을 만들어낸다면, 그 작품은 누군가를 상처입히는 흉기가 될 것이다. 펜의 무게를 알자.(저한테 하는 말입니다) 2021. 8. 10.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마음가짐] 그가 영화를 만들 때 하루가 지나면 하루가 줄어간다. 너와의 시간 이제 곧 하지다. 영상과 글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 시에서 표현된 감정과 시간에 대한 관점을 보고, 내가 표현하고 싶었던 하나의 이상형을 찾은 느낌이었다. ​ 단가는 기본적으로 슬픔이나 외로움 같은 감상을 말하지 않는다. 말하지 않음으로써 독자가 느끼게 하는 것. 그것이 단가 형식의 기본이다. 따라서 짧은 단어에서 그 느낌을 해석해내는 독자의 존재를 전제하지 않으면 성립하지 않는 시형(詩形)이기도 하다. ​ 가능하면 영화에서도 슬픔이나 외로움 같은 감정을 직접 말하지 않으면서 표현해보고 싶다. 문장에서의 '행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 보는 이들이 상상력으로 빈 곳을 채우는 식의 영화가 되면 좋겠다고 생 각하며 영화를 만들고 있다. ​ - , 고레에다 히로카즈 2021. 8. 10.
[블레이크 스나이더의 채찍질]영화.... 많이 보겠습니다ㅜㅜ 나는 영화를 직업으로 삼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자기가 쓰고자 하는 장르의 영화조차 제대로 인용하지 못하는 것을 볼 때마다 충격을 받는다. ​ 비단 그 장르뿐만 아니라 대체로 영화를 많이 보지 않는다. ​ - , 블레이크 스나이더 2021.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