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화 용어45

[영화 용어 #21] 정적 구도와 동적 구도(part 1): 구도를 만들어내는 요소들 1. 정적 구도 피사체나 대상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것, 피사체와 사물들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균형 있고 조화롭게 위치시키는 것(3등분의 법칙 등) 등이 정적 구조를 만들어낸다. 주로 정적 구도는 평화로움, 고요함, 온화함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세트나 피사체를 균형있고 규칙적인 무늬로 디자인하는 것도 정적 구도를 만들어내는 방법 중 하나이다. 2. 동적 구도 대상이나 피사체의 움직임을 강조하는 구도로, 정적 구도와 다르게 피사체와 대상을 중심에 놓지 않고 한쪽 모서리나, 위아래로 치우치게 만든다. +절벽이나 높은 건물 등을 사람이 올려다보거나 내려다보는 앵글(앙각 앵글/부감 앵글), 셔터 스피드를 느리게 설정하고 움직이는 물체를 찍어서 만들어내는 일렁이는 물결무늬, 수평축 자체를 현실과 다르.. 2021. 8. 14.
[영화 용어 #20] 무비, 필름, 시네마의 차이를 알아보자!(movie, film, cinema) 영화들을 보고, 영화에 관한 글들을 읽다 보면 무비(movie), 필름(film), 시네마(cinema)라는 용어가 혼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언뜻 보면 같은 것 같지만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진 세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1. 무비(movie) 'moving pictures', 'motion pictures'의 약자로서, 영화가 처음 등장했을 때 이 용어를 썼습니다. 영화의 '움직이는 이미지들'이라는 속성을 강조한 단어입니다. 또 movie는 '오락성, 상업성이 짙은 영화'들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2. 필름(film) 과거 광학 재료인 필름을 이용한 카메라로 영화를 찍었는데, 그 당시 일부 영화인들은 필름이라는 물질 안에 인간의 눈으로 포착할 수 없는 영혼이.. 2021. 8. 14.
[영화 용어 #19] 영화과 입시 필수! 영화 제작 3단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1. 프리 프로덕션(Pre-Production)-사전 제작 단계 장비 대여비, 스태프 임금 등 때문에 '시간이 곧 돈'인 영화 촬영.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탄탄하게 세워놓아야 효율적인 촬영이 가능합니다. -시나리오 작성 -자금 마련(투자사에게 투자를 받던가, 클라우드 펀딩 같이 사람들을 모으거나, 자비로 찍거나) -연기자 캐스팅 -스태프 구성 -장소 헌팅(촬영지 결정)(스튜디오라면 스튜디오 임대 계약) -장비 대여, 촬영 일정 세우기 -콘티 작성(촬영 계획 세우기) -리허설 -장비, 스태프, 배우 이동 계획 세우기 등 촬영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들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게 프리 프로덕션 단계입니다. 2. 프로덕션 (Production)-제작 단계 촬영 계획대로 효율적인 동선을 따라 촬영.. 2021. 8. 14.
반응형